알뜰교통카드를 사용함으로써 조금이라도 교통비에 대한 부담이 줄어듭니다. 대중교통을 이용하면서 마일리지도 적립을 할 수도 있는데요. 정말 좋은 제도지만 신청, 사용법을 몰라서 이용하지 못하시는 분들이 많습니다. 이번 포스팅으로 알뜰포스팅 총정리를 해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초등학생도 할 수 있는 알뜰교통카드 신청방법
신용카드 또는 체크카드로 발급을 받을 수 있습니다. 신한, 우리, 하나, 티머니, 캐시비, 유머니 등 아주 여러곳에서 신청할 수 있습니다. 신용카드의 경우에는 전월실적에 따라 신청 조건이 달라지는데요. 어떤 카드로 할지 고민 많이 되실 거라 생각합니다. 신청조건을 정리해드릴 테니 본인의 소비습관에서 유리한 방향으로 선택하시면 됩니다.
카드별 신청조건
-신한카드, 우리카드
신한카드와 우리카드는 조건이 동일합니다. 저번달 기준으로 최소 30만 원 이상 써야 합니다. 그리 어려운 조건은 아닙니다.
- 하나카드
하나카드는 조건이 조금 높습니다. 최소 50만 원 이상 써야 합니다. 하지만 이것도 다 이유가 있습니다. 카드사 별로 혜택이 다릅니다.
카드별 혜택정리 (신용카드)
혜택은 위 사진을 참고하시면 됩니다. 보기 쉽게 간단히 정리하고 비교를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신한카드
대중교통, 생활서비스, 마트(이마트, 롯데마트, 홈플러스), 편의점, 병원(동물병원제외), 약국, 스타벅스, 커피빈, 카페베네, 엔제리너스 10% 할인
-우리카드
대중교통, 대형할인점업종 2천 원 청구할인, 스타벅스, 자동납부 10% 청구할인. 청구할인은 결제 시 할인받는 것이 아닌 카드대금이 청구될때 할인 받는 것입니다. 이 외에도 놀이공원 자유이용권 50% 현장할인, 페이코 포인트 1% 적립
-하나카드
대중교통 20% 할인, 편의점, 커피전문점 10% 할인
카드별 혜택 차이가 느껴지시나요? 가장 큰 것은 신한과 우리카드는 대중교통 10%할인이지만 하나카드는 20% 할인입니다. 하나카드만 신청조건이 50만원 이유가 납득이 되죠? 매달 50만원 이상 소비하시는 분은 하나카드가 이득입니다.
신한과 우리카드 중 고민하시는 분들은 페이코 결제 사용여부에 다를 것 같습니다. 페이코를 자주 쓰시는 분들은 우리카드, 그 외에는 신한카드를 쓰시는 것이 유리합니다.
신용카드 쓰실 분들은 아마 대충 어떤 카드를 쓰실지 정하셨으리라 생각합니다.
체크카드 혜택정리
이번엔 체크카드 혜택입니다. 따로 신청조건이 필요한 건 아니기 때문에 혜택만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신한카드
대중교통 10% 캐시백, GS편의점 최고 7% 캐시백, 놀이공원 및 영화 할인, 서점 학원 토익 응시료 캐시백, 통신요금 자동이체 시 2~3천 원 캐시백
-우리카드
대중교통 3천 원 캐시백, 11번가 G마켓 쿠팡 2천 원 캐시백, CGV 롯데시네마 5천원 캐시백, 편의점 1천 원 캐시백, YBM시사, 해커스 어학원 3천원 캐시백, 스터벅스 2천원 캐시백 이외 에도 네이버페이 카카오페이 페이코 1천원 캐시백 등이 있습니다.
-하나카드
대중교통 15% 할인, 국내 쇼핑몰 2만 원당 200원 할인, 해외 직접구매 배송 대행료 및 이용 수수료 할인
역시나 대중교통은 하나카드가 가장 우수합니다. 평소 얼마나 소비에 대중교통이 얼마나 비중이 차지하는지에 따라 다르게 선택하시면 됩니다.
이 외에도 티머니, 캐시비, 유페이에서 알뜰교통카드를 신청할 수 있는데요. 위 사진으로 대체하도록 하겠습니다.
신청방법은 아주 쉽습니다. 아래 홈페이지 접속해서 각 카드사 별로 밑에 신청하기 버튼이 있습니다. 눌러주시면 됩니다.
하나 주의하실 점은 스마트폰으로 신청할 시에는 보안프로그램 충돌로 인해 원활한 서비스 제공이 안될 수도 있습니다. 가능하면 PC로 신청하시는 것을 권장드립니다.
알뜰교통 카드 사용법
알뜰교통카드는 사용법이 있습니다. 솔직히 말하면 조금 귀찮기도 합니다만 어려운 것이 아니기 때문에 한번 알아보겠습니다.
우선 교통카드를 신청하시고 카드를 발급받은 후에 얘기입니다. 조금 귀찮으신 분들은 카드부터 발급을 받으시고 사용법을 숙지하셔도 무방합니다.
어플 다운로드 -> 회원가입 -> 출발버튼, 도착버튼 클릭
조금 더 상세하게 알아보도록 위해 아래 사진으로 정리해놓았으니 참고하시면 됩니다.
여기서 주의할 점은 알뜰교통카드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주민등록본이 필요합니다. 주소지 확인을 위해 필요한 것인데요. 주소지와 거주지가 다르신 분들은 확인해보실 필요가 있습니다.
마일리지 적립방식
마일리지는 거리별, 저소득층, 청년층으로 나누어서 적립액이 나뉩니다. 아래 표로 정리해 놓았습니다.
회당 마일리지 적립액(최대 800m 기준)
교통요금 지출액 | 2천원 미만 | 2천원 이상 ~ 3천원 미만 | 3천원 이상 |
마일리지 지급액 | 최대 250원 | 최대 350원 | 최대450 |
저소득층 마일리지 적립액 (만 19세 이상 저소득층, 회원가입 시 증빙서류 제출 할 것)
구분 | 1회 교통비 | 비고 | ||
2천원 미만 | 2천원 이상 ~ 3천원 미만 |
3천원 이상 | ||
일반 | 250원 | 350원 | 450원 | 이동거리 최대 800m 기준 |
저소득 | 500원 | 700원 | 900원 |
청년층 마일리지 적립액 (만 19세 이상 34세까지)
구분 | 1회 교통비 | 비고 | ||
2천원 미만 | 2천원 이상 ~ 3천원 미만 |
3천원 이상 | ||
~22년 12월까지 | 250원 | 350원 | 450원 | 이동거리 최대 800m 기준 |
23년 1월부터 | 350원 | 500원 | 650원 |
이전까지 혜택을 못 받고 계신 분들은 아쉬워할 것이 전혀 없습니다. 2023년부터는 혜택이 더욱 올라갔습니다. 지금이라도 늦지 않게 신청하시고 알뜰교통카드 혜택을 받으시길 바랍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