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증여세 면제 한도액 알아보고 세금 줄이는 전략!

by 윤까망 뉴스 2022. 12. 22.

증여세 면제 한도액은 금액적인 부분만 충족된다고 면제받을 수 있는 건 아니니 정확하게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증여세는 재산을 증여받은 자가 부담해야 되는 세금입니다. 확실히 알고 있어야 조금이라도 본인에게 유리하겠죠? 

썸네일
증여세 면제 한도액

증여세 면제 한도액 조건이 어떻게 될까?

증여세는 재산을 증여 받은자는 꼭 내야 하는 세금인데요. 필수적입니다. 하지만 누가 받느냐에 따라 증여세 면제 한도액이 달라지는데요. 표를 통해서 간단하게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증여세 면제 한도액 조건 표
증여세 면제 한도액

이처럼 증여자와의 관계에 따라 한도액이 달라집니다.

 

직계존속은 증여자 본인과 혈연 관계면서 윗세대라고 보시면 됩니다. 부모, 조부모, 고조부모, 외조부모 등이 되겠죠. 증여세 면제 한도액을 측정할 때는 계부와 계모도 직계존속에 포함이 됩니다. 하지만 증여를 받는 자가 미성년자인 경우에는 직계존속이라도 한도액이 2천만 원으로 제한됩니다. 

 

직계비속은 그 반대입니다. 본인과 혈연 관계면서 아랫세대라고 보시면 됩니다. 자식, 손주 등이 있겠죠.

 

기타친족은 6촌 이내의 혈족과 4촌 이내의 인척도 있지만 형제나 며느리의 사위 등도 예시로 들 수 있습니다. 

 

또 표에 보시면 10년간 합산하여 공제할 수 있는 금액이라고 적혀있는데 많이들 헷갈려하시는 부분이라 설명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증여세 면제 한도액 조건과 한도액은 알겠는데 10년간 합산하여 공제할 수 있는 금액이 뭘까?

증여세 면제는 기본적으로 10년을 기준으로 한사람에게 얼마를 증여받았는지를 봅니다. 예를 들어 2015년에 성인인 제가 아버지에게 5천만 원을 증여받습니다. 아까 설명드렸듯이 그럼 직계존속이기 때문에 5천만 원은 면제 한도액에 들어가죠? 이후 2023년에 2천만 원을 또 증여를 받습니다. 그럼 총증여액은 7천만 원이기 때문에 증여세 면제가 되지 않습니다.

 

만약 10년이 지난 2026년에 추가 증여를 받았다면? 그럼 10년이 지났기 때문에 다시 5천만원에 대해 증여세 면제가 가능합니다.

 

그럼 우리가 하나 전략을 펼쳐볼 수 있겠죠. 7천만원이라는 금액을 증여 예정이라면 자녀가 성인이 되기 전에 2천만 원을 먼저 증여해 줍니다. 그럼 직계존속이지만 미성년자이기 때문에 2천만 원 면제. 이후 10년 뒤 자녀가 성인이 됐을 때 추가로 5천만 원을 증여해 줍니다. 직계존속에 포함되며 성인이 되었기 때문에 5천만 원 증여세 면제가 됩니다. 

증여세 전략 요약
증여세 면제 한도액

합법적이면서 세금을 최대한 줄일 수 있는 방법입니다. 이뿐만 아니라 얼만큼 증여를 받느냐에 따라 증세세율이 또 달라지기 때문에 함께 알아보겠습니다.

 

금액별로 달라지는 증세세율!

증세세율 정리 해놓은 표

여기서 누진 공제액이 조금 헷갈릴수도 있습니다. 간단하게 설명하면 그냥 내가 증여받은 금액에서 세율을 빼고 누진 공제액도 함께 빼주시면 됩니다.

 

쉬운 이해를 위해 예시를 들어보겠습니다.

 

성인인 제가 6억을 증여 받았습니다. 자녀의 경우 증여세 면제 한도액이 5천만 원이기 때문에 5억 5천만 원 치의 세금만 내면 됩니다.

 

자 위에 표를 볼까요? 5억원이 초과되고 10억 원이 하기 때문에 증여세율이 30%네요? 

 

5억 5천만원에서 30%는 1억 6천5백입니다. 여기서 누진 공제액인 6천만 원을 빼주는 겁니다. 그럼 총 납부해야 할 세금은 1억 5백만 원이 되는 것입니다. 간단하죠?

증여세 계산 방법 요약
증여세 면제 한도액

증여세 면제 한도액을 계산하는건 그렇게 어렵지 않습니다. 전력도 디테일하게 들어가면 많지만 어느 정도 한정 되어 있고요. 증여해야 할 금액을 잘 계산하시고 최대한 세금을 줄일 수 있는 방향으로 가길 바라겠습니다.

댓글